우한시는 홍콩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승용차를 관리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선언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지인은 "우한시가 폐쇄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밝혀냈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이야기했었다.
색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덩치 콘서트를 오픈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독일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습니다"고 언급했었다.
국장 탈출'이라는 말이 친숙해질 정도로 국내외 투자 선호가 해외선물 대여계좌 크게 불어났다. 투자자들의 이민은 주식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대중투자자들은 선물·옵션과 동일한 파생제품의 투자 기회도 국내에서 찾고 있을 것이다. 특이하게 해외와 달리 국내외 선물·옵션 투자의 경우 허들 자체가 없다.
회의에서 제시된 핵심 규제 조건은 투자자가 해외파생제품을 거래하기 위해 의무실습과 모의투자를 이수해야만 한다는 조건이다. 이 문제는 금감원의 감독 방향성 변화에 따른 것이다. 금감원은 이번 주 진행한 금융투자 부문 업무 이야기회에서 대중투자자의 국내선물·옵션 거래시 규제 공백 해소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