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과 기관을 사칭해 피해자를 속여 금품을 뜯는 ‘스미싱과 ‘보이스피싱 범죄가 강원도에서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요즘에는 코로나(COVID-19) 백신접종을 미끼로 이를 악용한 범죄도 덩달아 기승을 부리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춘천에 사는 80대 남성 안00씨는 한 달 전쯤 딸에게 문자 메시지를 취득했다.“아빠,보험료를 받아야 하는데 핸드폰 액정이 나가서 못 받고 있습니다”는 뜻이었다.문자와 같이 첨부된 웹페이지 주소를 누르자 김00씨의 스마트폰엔 원격 조정 앱이 자동으로 설치됐다.얼마 있을 것입니다가 B씨의 계좌에선 10만원이 인출됐다.
강원도내에서는 문자와 전화를 매개로 한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을 것입니다.도내 보이스피싱 생성 건수를 보면 2016년의 경우 1345건(구속 109명)이 생성했으며 피해액은 213억원에 달한다.작년엔 1139건(구속 124명)으로 범죄 건수가 소폭 줄었으나 피해액은 237억원으로 더 늘었다.
요즘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접종을 미끼로 질환케어청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잇따르고 있을 것이다.‘[질병케어청] 기관명으로 된 말머리와 다같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백신 예약 확인 신청 내용 등과 웹페이지 주소를 발송해 접속을 유도하고 있다.문자 속 주소를 누르면 질환청 사칭 앱 설치 페이지로 연결된다.해당 앱을 설치하면 금융아이디어를 필요하는 화면이 뜨는 것으로 확인됐다.질환청 측은 백신 접종 확인 과정에서 개인의 금융아이디어를 일체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주의를 당부하였다.
오는 11월 9차 재난지원금의 일환인 상생국민지원금이 지급되면 이를 악용한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는 없다.
경찰 직원은 “코로나(COVID-19) 상황을 사용한 각종 범죄가 판을 치고 있는데 관련 문자가 오더라도 무작정 누르지 말고 정보이용현금화 기관에 전화해 본인이 확인해서야 한다”고 말했다.